건축설비기사
- 2020.02.08
- 조회수 2,142
- 댓글수 0
2019년 일반기계기사 4회차 시험 : 필답형 43점, 작업형 실격(0점)으로 불합격.
1. 필답형 : 43점
필기 시험 끝나고 가채점 73점나와서 다음날 바로 책사서 준비했습니다. 준비는 위을복 일반기계기사 필답형 교재로 공부했습니다. 저는 기출 바로 안돌리고 예제 차근차근 풀면서 공식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하면서 공부 했습니다. 이렇게 이해하면 공식 외우지 않아도 풀리는게 많아집니다. 식만 세우고 계산기 solve 써버리면 되니까요. 예제 풀면서 어려운 문제는 표시해두고 자주 봤습니다. 한번에 풀리는 문제는 다시는 안봤습니다(어짜피 과년도마다 계속 나와서 보게됩니다 ㅋ)
예제 다 풀고나니 2주 정도 걸렸습니다. 그리고 기출 풀기시작했습니다. 12년치 풀고나니 시험날 가까워 지더라구요. 이것도 풀면서 어려운거 표시해두고 그것만 봤습니다. 기출은 최근(2019년) 문제부터 풀기 시작해서 2006년까지 풀었습니다. 이렇게 1회 풀고 어려웠던 문제만 따로 더 풀어봤습니다.
2. 작업형 : 실격(0점)
작업형은 필답보다 부담을 안가졌는데, 실격이 나오니 당혹스럽더군요. 저는 국비지원으로 설계 교육을 받았던 적이 있었기 때문에 거칠기, 기하공차, 데이텀, 2d, 3d모델링은 부담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시험 3주전 부터 했습니다. 가물가물하긴 했어도 보면 금방 기억났습니다. 카티아를 썼었는데, 카티아 시험장이 거의 없어서 유튜브 홍교수님 인벤터 강의로 3d, 2d다 할 수 있었습니다. 오히려 카티아, 오토캐드 쓰는것 보다 인벤터로만 다 하는게 훨씬 스트레스를 덜 받았어요. 인벤터는 3d에서 수정하면 2d로 자동으로 반영이 되거든요. 카티아도 2d기능이 있는데 국가시험 기준에 맞게 도면 그리는게 번거롭습니다. 쓰레드 넣는것도 귀찮아요. 결정적인건 수도권에 카티아 시험장이 없어도 너무 없어요 -ㅅ-a
실격사유.
실격사유를 문의해보니 3d 2번 부품에 붙여그린게 있어서 실격 줬다고 답변 왔습니다. 시험 끝나고 축에 와셔 같이 그린걸 뒤늦게 발견하긴 했는데, 실격사유가 예상대로이기도 하지만, 설마 하나 때문에 실격을 주리라고는 생각 못 했는데 얄짤 없었네요.
느낀점.
다음에 준비할때는 투상을 많이 연습하고 가야겠습니다. 그리고 시간나면 조립도 해볼겸 어셈블도 연습하고 가면 좋을거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컴퓨터가 오래됐을거라 예상은 했는데, 생각보다 더 않좋았습니다. 생각외로 자주 팅기니 수시로 저장하세요. 시험장 사양 이건 시험장마다 다르겠네요. 웬만하면 최신버전 깔린 곳으로 가세요.
필답형은 문제 많이 풀면 되구요. 작업형은 실격사유만 피하면 쉽게 합격하실겁니다. 총총.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