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접기능장 실기Tip(합격후기)

56회 용접기능장을 취득한 1인 입니다.
55회 시험은 구조물 누수로 오작처리되었지만 , 56회 시험은 깔끔하게 86점으로 합격하여 기능장을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간단한 Tip이지만, 기능장준비를 하신는 분들께 조금은 도움이 될 거 같아 글을 올립니다.

실기시험 중 대부분 TIG, 용접구조물(ARC)은 무난하게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 많은 분들이 Co2에서 RT 오작으로 인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서 오늘은 Co2 실기시험에 대해 Tip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Co2는 플럭스와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슬래그제거에 많은 신경을 쓰셔야되는데 ,
용접을 하고나서 시간에 쫒겨 바로 슬래그를 제거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제거 과정중에
비드부가 찍혀서, RT에서 감점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서 용접후에 바로 비드제거를 하지마시고
1분 정도만 있다가 제거를 하면 수월하게 제거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절대 용접비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끌개로 긁어야지, 망치로 때려버리면...RT에서...결함으로 나올수있습니다

.

둘째. RT 오작이 다발로 나오는 자세가 수평입니다

먼저 1패스는 루트갭 상단면 안쪽을 겨냥하고 비드를 채우시되, 점을 찍듯 누른다는 느낌으로 운봉을 하시면

빽이 적당히 이쁘게 나오게 됩니다. 단 절대!! 위빙을 하시면 안됩니다. 기공이 들어갈 수 있는 확률이 매우높아

RT에서 오작처리 될 경우가 많습니다.
수평은 1패스,2패스(2줄),3패스(3줄)로 했을 경우 가장 안정적으로 비드를 쌓을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2패스(3줄)로 마무리를 하는데, RT에서 LF(융합불량)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기때문에 3패스로 마무리하는게 중요 Point입니다.

그리고 1패스를 제외하고는 2패스,3패스 모두 토치각도가 70~90도가 되게끔 해주시는게 슬래그제거에

용이합니다.

 

셋째. 전류/전압
이론상으로는 170A/22V 정도가 좋다고 하지만, 용접을 정말 잘하지않는 이상 2패스시 1패스의 잔여 슬래그를 녹일수가 없기때문에 바로 여기서 RT 오작(2종결함)이 되는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
해서 방법은 1패스의 슬래그를 녹일수있는 전류/전압을 맞춰야되는데

200A이상/28V 정도까지 올려 용접을 하면 슬래그 녹는게 눈에 보일 정도가 됩니다.

다만 200A일 경우 와이어나오는 속도가 무지빠르게 때문에 충분한 연습이 전제조건 입니다.
저도 물론 210A까지 올려서 용접한 결과~합격!
또한 1패스,2패스는 동일한 전류/전압으로 사용을 하시고, 3패스(표면)는 전류만 20~30A 낮춰서 용접을 하면
비드가 아주 이쁘게 쌓이게 됩니다.

 

많은 정보는 아니지만 Co2 실기에 대해서는 좋은Tip이 될 거라 생각됩니다.
그럼 많은분들의 용접기능장 탄생을 기대하면서
~끝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