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능사
- 2013.01.27
- 조회수 2,068
- 댓글수 5
금일 시험 직후 가채점결과 무난하게 합격한거 같아서 준비를 하는분들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 올립니다.
아시다시피 보일러기능사가 12년에 통합이되었습니다.
그렇다보니 12년도 이후부터 꾸준히 새로운 문제들이 많이 출제된거 같네요.
저같은경우 7일만에끝내기라는 책으로 공부를 했는데
요점되어 있어서 이것만 봐도 충분하겠지 했다가 시험 10일 앞두고 12년도 기출을 풀어보니
좌절 했습니다. 05년도부터 10년도 까지 두번풀어본 저로서는 12년도 문제들에는
30개도 못맞췄거든요.
어느정도 두꺼운 책을 중심으로 이론을 중심으로 다져놓으시고 기출을 푸시는게 도움이 되실겁니다.
저처럼 책 얇고 싼 책 찾다가 낭패 보실수도 있으니
예로 들면 10년도까지 기출에 자주나와었던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서요.
검사대상기기의 검사를 받지 아니한자에 대해서 벌금 등 문제가 많이 나왔다면
12년 직후에는 이런 문제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실겁니다.
13년 1회차 문제에는 태양으로 이용한 전기생산설비 묻는 문제와
방열기 종류로 관가 핀으로 이루어지는 엘리먼트와 이것을 보호하기 위한 덮개로 이루어지면 실내벽면에
부착하는 방혈기 형식 묻는문제 새로운 유형의 문제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그러니 앞으로 준비하시는 분들은 기출문제를 거꺼로 풀어나가시는 연습을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13년 1회차 12년 5회차....
그리고 이론공부를 철저하시는게 좋을듯 싶네요.
수격작용,프라이밍, 가성취화, 포밍등 이렇게 보면
구별가지만 발생하는 원인이라던지 방지법등 어지간히 공부를 했다면
섞어놓았을때 쉽게 구별하기가 쉽지 않으실겁니다.
그러니 각 용어별 정의와 발생원인 방지법등 확실하게 구분하셔서 외우시는게 좋습니다.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