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냉동공조기계기사 필기 후기
제목에 자격증명을 반드시 적어주세요

'변경된 실기 시험 평가방법은

2017년도 기사 제3회 실기시험부터 적용'

이라고 써있고,

필답형 3시간에 계산문제 + 도면 설계 구성..

현재 큐넷에는

필답형 2시간 30분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3회차부터 새롭게 도면 설계가 추가되고

필답형 시간도 늘어나니까

더욱 따기 어려워지지 않을까 싶네요ㅠㅠ

 

공조냉동기계기사의 합격률은

필기 실기 모두 30% 내외입니다.

실기 합격률이 생각보다 낮아서

무섭네요.................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시험은

열역학 / 냉동공학 / 공기조화 / 전기제어공학 / 배관일반

총 5과목 - 100문제이며, 평균 60점을 받아야합니다.

한 과목당 8개 미만 정답시 과락이니 주의! 

 

1. 2008~2010 과년도를 과목별로

풀이와 함께 읽어보고,

처음 나오는 공식들을 정리한다.


2. 2011~2013 과년도를 과목별로

답과 풀이를 가리고

앞에서 본 듯한 문제는 풀어보고,

생소한 문제는 괜히 붙들고 있지 말고

해설을 보며 공부한다.


3. 2008~2013 과년도를 과목별로

해설과 답을 철저히 가리고

맞힌 개수를 체크하며 풀어본다.

자주 틀리는 문제들을 확실히 외우고,

생소한 문제들은 답이라도 외운다.


4. 2014~2016 과년도를 시험 보듯이

해설과 답을 철저히 가리고 책에 풀어본다.


5. 시험보는 날 아침이나, 시험보러 가는 길에

2014~2016 과년도에서 틀린 문제들만 본다.

틀린 문제들의 문제와 보기를 외운다.

 

요약하니 민망하네요.

고작 이 얘기를 하자고 저렇게 주절주절....

이 아니라!!!!!!!

이렇게 공부한 저도 합격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계기사 딸 때에도

아주 유용했던 팁인데,

이번 시험에서도 써먹었습니다 허허허


문제들에는 ?친절히 단위들이 나와요.

예를 들어서,

비열이 0.475 KJ / kg-K 인 철 10kg을

 20도에서 80도로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은 몇 KJ인가?

라는 문제가 나왔는데,

도저히 공식이 떠오르지 않는다거나

아예 푸는 방식을 모르겠다! 할 때에는

단위를 보고 공식을 만들어냈어요.

?구하고자 하는 것이 KJ이니까,

주어진 조건들을 활용해서

KJ을 만들어내는 겁니다.

?

KJ = KJ/kgK * kg * K 처럼,

비열의 분모단위에 있는 것들을

비열에 곱해주면 KJ만 남게 되는 것이죠.

?

답 = 0.475(비열) * 10(무게) * 60(온도 차이) = 285 KJ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모르거나 헷갈리는 문제들을 넘어가고

나중에 시간이 남을 때 못풀었던 문제중에 

이렇게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있을수도 있으니,

이런 방법도 있구나~ 하고 알아 두시면

도움이 될 거에요.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