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사
- 2010.11.10
- 조회수 3,269
- 댓글수 0
1. 정보통신기술사 진로 및 전망
- 정보통신기술사는 통신기기 제조업체, 정보통신설비제작업체 및 공공기관, 정보통신설비를 공사·설치하는 기업체 및 공공기관, 전기통신공사, 광통신회사, 데이터통신공사, 연구소 등에 진출하여 정보통신망에 대한 연구개발 및 정보통신기기의 개발을 담당할 수 있다. 또는 자신이 직접 회사를 경영하거나 시스템컨설팅업체에서 컨설턴트로 활동하기도 한
다.
- 통신기기산업은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짧고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다른 산업에 대한 기술파급효과가 크며 동시에 기술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산업이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사회에서 통신기기를 비롯한 정보통신산업은 중요한 국가의 기간산업으로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 만큼 정보화사회에서 정보시스템을 계획·설계하고 기술적 타당성을 최종적으로 결정내리는 전문가의 역할은 그 중요성을 더해갈 전망이다. 또한 정보시스템의 개발 못지 않게 운영업무의 감리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정보시스템감리업무에 이론과 경험을 겸비한 정보통신기술사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정보통신기술사의 직무
전기·정보통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정보통신망에 관한 계획 및 운용업무 담당. 정보의 검색 및 제공 등 정보통신에 관계되는 정보전송방식, 정보기기, 정보통신설비에 관한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기술자문과 감리 수행
- 한국전파진흥원 (http://www.cq.or.kr)
? 정보제공 : 한국전파진흥원 ⓒ 게시물작성 : 스터디온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