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접기능장

1. 용접기능장 진로 및 전망

- 용접기능장은 조선, 기계, 자동차, 전기, 전자, 건설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진출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행정분야, 학계, 연구소 등으로도 진출할 수 있다.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철도·궤도공사업, 가스시설공사업의 기술인력으로 고용될 수 있다.


- 용접의 활용범위와 소재가 날로 광범위해지고 자동화, 로봇화되면서 용접의 고강도화, 고탄성화, 고정밀화, 용접변형의 극소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극한 환경아래에서도 용접이 가능한 무인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용접기능장 분야는 고도의 현장적용능력과 관리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 용접기능장의 직무

용접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관리, 소속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의 업무 수행

 
3. 용접기능장 실시기관명
- 한국산업인력공단 (www.q-net.or.kr)

 

? 정보제공 : 한국산업인력공단 

 ⓒ 게시물작성 : 스터디온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