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운전기능사 시험정보
농기계운전기능사
1. 농기계운전기능사 진로 및 전망
- 농기계운전기능사는 주로 자영농, 기업영농, 축산업, 낙농업, 농업기계대리점, 농업기계 생산업체의 조립 및 시험부서, 농업기계정비업체 등에 진출할 수 있다.
- 농업부문 취업자수 추이를 보면 1998년 경기하락에 따른 역이농현상에 따라 일시적으로 증가세를 보인 것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런 원인 중의 하나는 기계화에 따른 노동력절감도 한 몫을 차지한다. 참고로 1998년말 현재 농기계화율은 건조작업을 제외한 모든 작업분야에서 95%이상의 높은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농림부 농업정보통계관실, '98 농기계이용수지 및 농업기계화율 조사결과, 1999 참조).
현대 농업은 이처럼 경운기, 이앙기, 콤바인, 곡물건조기, 바인더, 관리기, 트랙터 등 다양한 농업기계가 많이 사용되어 기계 중심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들 농업기계 운전자들 대부분은 거의 대부분이 자영농인데, 자격증없이 스스로 배워 운전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전문적으로 자격을 취득하는 인원은 드믄 편이다.
2. 농기계운전기능사의 직무
동력경운기,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 방제기 및 양수기 등과 같은 농기계를 운전, 조작하는 업무 수행
? 정보제공 : 한국산업인력공단 ⓒ 게시물작성 : 스터디온 |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