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검사기능사

1. 자동차검사기능사 진로 및 전망

- 자동차검사기능사는 자동차검사대행업체, 자동차정비업체, 자동차 생산업체 또는 수입업체의 시험부서나 검사부서, 택시미터기전문검정기관 등으로 진출한다. 「자동차관리법」에 의해 자격 취득 후 자동차검사 또는 정비업무에 3년이상 경력을 쌓으면 검사원으로 고용될 수 있으며, 자격취득 후 바로 택시미터기검정요원으로는 고용될 수있다.


- 자동차검사분야의 고용은 자동차 생산대수 및 보유대수의 변화추이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향후 자동차 보유대수의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되고, 또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는 자동차의 개발과 신차 개발기간의 단축, 환경·안전기준의 강화에 의해 자동차검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른 검사기능인력의 증가도 기대된다.


2. 자동차검사기능사의 직무

자동차를 검사대 위에 올려놓고 검사장비를 작동시키거나 자동차의 시동을 걸거나 검사기계 위를 통과시켜 검사장비의 계기에 나타나는 수치와 자동차의 성능규정을 표시한 목록을 비교함. 제동능력, 속도, 사이드슬립, 헤드라이트, 매연, 엔진 성능 등과 같은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성능을 전문적으로 검사하기로 함
 
3. 자동차검사기능사 실시기관명
- 한국산업인력공단 (www.q-net.or.kr)

 

※ 2012년 1월 1일부터 자동차정비기능사로 통합되었습니다.

☞ 자동차정비기능사 바로가기

 

? 정보제공 : 한국산업인력공단 

 ⓒ 게시물작성 : 스터디온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