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선기술사 자료집 1

배의 길이에 대한 이해득실

1. 길이를 증가시켰을 때의 장점

① 같은 배수톤수의 배에서는 L이 크게 된다는 등 일반적으로 동일 속력에 대해 저항이 작아짐에 따라 소요마력이 작아지게 된다. 이것은 와 CB가 작아지게 된다는 것으로 고속을 내는 배 등에서의 이익은 현저하다.

② 내해성(sea-worthiness)이 좋게 된다. 이것은 주로 종요(pitching)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③ 갑판 위의 배치가 쉬우며 또한 창구와 양화장치를 충분히 할 수 있으므로 하역이 용이하게 된다.

④ 잉여저항이 작아져 동일마력에서 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

⑤ 조종성능(maneuvability) 중에서 배의 길이가 길면 보침성이 좋아진다.

2. 배의 길이를 증가시켰을 때의 단점

① 해상에서 세로 휨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종강력 부재의 수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선체 중량이 증가하여 선가가 증가한다.

② 건현이 비례이상으로 증가할 필요가 있으며 반면 재하중량이 작아진다.

③ 조종 성능면에서 선회성능(turning)이 나빠진다.

④ L의 영향에 대해서 중속 이하의 배에서는 마력 및 그 밖의 이익보다도 중량의 증가가 커지기 때문에 될 수 있는 한 길이를 짧게하고 있다.

 

배의 폭 결정조건

1. 중량 그루핑(grounping)의 변화에 따른 폭의 영향은 폭의 영향을 주는 중량 그루핑을 다음의 세 가지 경우로 나뉘고 있다.

① 폭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중량 그루핑 : 선체구조, 추진기관, 보일러의 급수(feed water), 연료 등

② 조금 영향을 주는 중량 그루핑 : 선체의장, 의장품, 설비품 등

③ 직접적으로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중량 그루핑 : 창고품, 청수, 승조원, 재화중량, 고정 밸러스트, 여유중량 등

2. 배의 길이와 깊이가 평형이 되어야 한다.

3. 상갑판 위의 소요면적에 따라서 폭이 증감되어야 한다.

4. 최종적으로 배수량을 변화시킬 경우에는 운하의 폭과 수리 건선거를 고려하여 폭을 조정해야 한다.

 

I.A.C.S의 성립

선급협회에는 앞에서 설명한 대로 각 주요 해운국과 관계하고 있지만, 선박과 같은 국제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에 각국 선급협회에서 서로 다른 규칙의 적용은 불합리하게 되기 때문에 이것을 통일하고자 하는 선급협회 사이의 연락기관이 생겼다. 이것이 IACS(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lassification Societies)로 사무국은 선급협회 사이의 지속적인 순회형식으로 맡게 되었다.

선급협회가 하는 일은 입급 업무로도 업무량이 많으며 규칙도 많기 때문에 여러 부분으로 적용해야할 사항이 너무 복잡하다. 또 나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완전히 통일하기는 불가능 하지만 비교적 기본적인 것으로 통일하므로 작업에 진전을 볼 수 있는, 선체용 강재 규격, 종강도 요구값 및 IACS의 조문 해석 등과 같은 것들이 통일되고 있다. 다만 이런 것도 전부 동일하다고 할 수 없고 기본적인 생각으로서 합의할 수 있는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각 선급협회에 일임시키고 있다.

이 통일화는 별도로 종래에도 선급협회 사이에서 검사의 상호 대행이 행해져 왔으며, 한국선급협회가 NK, ABS 선급협회와 IACS가 성립되어 있다.

※ 참고사항

NK : Nippon Kaiji Kyokai [일본해사협회]

ABS : American Bureau of Shipping [미국선박국]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