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식물보호산업기사

식물보호 산업기사 요점정리(식물병리학,농림해충학,잡초방제학,농양학)

참고자료입니다.파일로 올렸어요~!

 

(4) 식물바이러스병의 진단

- 먼저 육안 진단

- 면역학적 진단(혈청이용): 한천겔 면역확산법(AGID), 형광항체법, 효소결합항체법(ELISA), 슬라이드법,

직접조직프린트 면역분석법(DTBIA), 적혈구 응징반응법

- 분자생물학적 진단 :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RT-PCR), PAGE분석법, 닷 블라트법

- 물리․화학적 특성 조사 : 내열성(바이러스가 불활성화되는 온도), 내희석성(희석한계), 내보존성(확성을 얼마나 오래 하는지)

- 바이로이드병 진단 : 지표식물 검정법(눈접 통한 생물검정), RT-PCR (시간 소요 많고 정밀도 낮다)

 

(5) 파이토플라스마병 진단

- 체관부(사부)에만 존재, 전자현미경으로 사부내 세포 관찰

- 이병절편을 Dienes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푸르게 염색되고 집락 형태 유지되는 것을 파이트플라스마의 집락으로 판정)

- 이병 조직의 사부를 DAPI나 형광색소등으로 염색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 후 이병 여부 진단

- 감염조직에 테트라사이클린이나 페니실린 접종하여 저항성 판단, 건전한 기주에 병든 기주의 가지 접목하여 전염성 봄

 

2. 식물병 진단법의 종류

(1) 육안적 진단

- 병징이나 표징을 보고 병 이름을 판단하는 방법

- 육안적 진단에서 표징은 절대적, 진단에 결정적인 역할 함

- 습식처리 : 병환부가 마르거나 오래 되어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물에 적신 신문지나 휴지를 넣어 포화습도의 상태유지(진균병 진단에 많이 이용)

 

(2) 해부학적․현미경적 진단

- 현미경 이용하여 병원체의 유무, 병원균의 종류 및 형태, 병원균의 균사 모양 및 편모 수와 위치, 항체와 반응 시 나타나는 형광형상 등 조사하여 진단

-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에 감염시 다각형의 결정 형성

- 감자 X바이러스의 경우 과립 봉입체(X-body)

- Potyvirus 감염시 풍차 모양의 봉입체 형성

(봉입체 정보가 몇볓 바이러스에 국한되어 있어 모든 바이러스에 적용 할 수 없다.)

- 그람염색법: 대부분 음성이므로 양성인 병원균 진단(감자 둘레 썩음병-그람양성)

- 침지법(DN) : 바이러스에 감염된 잎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올려놓아 염색하여 관찰, 간편하나 바이러스 감염여부만 판정

- 초박절편법(TEM) : 바이러스에 감염된 잎 조직을 고정, 포매하여 초박절편한 후 세포 내 바이러스 입자 및 봉입체의 존재 양상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전체 식물체 이병유무 판단에는 부적합

-면역 전자현미경법 : 혈청반응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 병든 부분을 해부하여 조직속의 이상현상이나 병원체의 존재를 밝히는 방법

(3) 물리․화학적 진단

- 병환부에 나타나는 물리․화학적 변화 조사

- 감자 바이러스병에 감염된 씨감자의 진단에는 감염된 즙액에 황산구리 첨가하여 즙액의 착색도와 투명도 검사

 

(4) 병원적 진단

- 인공접종 등의 방법으로 병원체를 파악하는 방법 KOCH의 원칙에 따라 병든 부위에서 미생물분리배양인공접종재분리

- 소나무류의 잎녹병은 중간기주식물에 대하여 접종시험을 하여야만 병원균의 정확한 동정이 가능

-Fusarium과 같이 병원성이 분류의 기준으로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감수성이 높은 식물에 인공접종할 필요가 있다.

 

(5) 생물학적 진단

- 최아법(괴경법) : 감자 바이러스병 진단 위해 미리 감자의 눈을 발아시켜 발병의 유무 검정

- 박테리오파지법 : 어떤 세균 계통에 대해 특이성 있는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그 계통 세균의 존재 유무 및 월동장소 파악(벼 흰잎마름병균)

-지표식물법 : 어떤 병에 고도의 감수성이거나 특이한 병징을 나타내는 식물을 병의 진단에 이용

① 감자 X바이러스 - 천일홍

② 뿌리혹선충 - 토마토, 봉선화

③ 과수자줏빛날개무늬병 - 고구마

④ 과수근두암종병 - 밤나무, 감나무, 벚나무, 사과나무

⑤ 바이러스병 - 명아주, 독말풀, 땅꽈리, 잠두, 천일홍, 동부

- 즙액접종법 : 즙액접종이 가능한 바이러스를 여러 종류의 지표식물에 접종하여 특이적인 병징을 관찰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여부 검정, 검정기간 길고, 넓은 공간 필요함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