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도장기능사
- 2011.01.16
- 조회수 3,959
- 댓글수 0
공예
- 정의 :
1.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일용품을 주로 수작업으로 만드는 것
2. 실용성과 함께 아름다움을 지녀야 함
3. 기능성, 심미성, 독창성을 지님
1) 도자공예
- 성형 방법
1. 빚어서 만들기 (소박하고 자유로운 모양)
2. 말아서 만들기 (주로 원통형)
3. 흙판으로 만들기 (각진 그릇)
4. 물레로 만들기
5. 석고틀로 만들기 (복잡한 모양이나 대량생산에 적합)
- 제작과정
1. 성형
2 그늘에서 말리기
3. 초벌구이 (약 700~800)
4. 무늬 넣기
5. 유약 바르기
6. 재벌구이(약 1200~1300)
7. 완성
- 작품감상
1. 청자 상감 운학무늬 매병(국보 68호/고려시대)
-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상감 청자, 구름과 학을 표면 전체에 고루 배치.
조각도로 무늬를 새긴 후 흑토, 백토로 매워서 유약을 발라내는
“상감기법” 그 모양은 완벽한 좌우 대칭 흐르는 선은 매우 한국적
전체적으로 균형미가 잘 잡힌 아름다운 도자기 작품.
2. 백자 달 항아리 (조선시대) - 물레로 만듬
3. 분청사기철화당초문장군 조선시대)
4. 청화백자매죽문호 (조선시대)
5. 청자 진사 연꽃무늬 표주박 모양 주전자(고려시대)
2) 목공예
- 목재의 특성.
가공이 용이. 나무의 독특한 느낌을 살릴 수 있다.
불에 타기 쉽다. 부패할 염려가 있다. 수분에 따른 수축률이 크다.
- 우리나라 전통 목가구의 특징
소박한 형태. 간결미. 대부분이 조선시대.
목재의 보호와 표면장식을 위해 옻칠, 들기름, 콩기름, 등으로 도장함
다양한 금속 장식을 덧대어 기능성과 장식성을 살림
견고한 이음새와 짜임새로 내구성이 높음
(결구부분에 쇠못이나 접착제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
- 제작과정
1. 구상 스케치
2. 전개도 그리기
3. 마름질
4. 만들기
5. 사포로 문지르기
6. 니스 칠하기(도장)
7. 완성
- 작품감상
(조선시대)
경상, 삼층 책장, 화각사층장, 호족반,
왕종원<타조>, 주전자 모양의 거울장, 캐슬<행성폴발>- 탁자
3) 염색공예
- 종류
1. 직접염료 : 주로 식물성 섬유 (면, 마)의 염색에 사용
2. 생성염료 : 동물성 섬유 (견, 모)의 염색에 사용
- 염색기법
1. 침염 - 천을 염료 속에 담궜다 꺼냄(단색)
2. 납염(납결염) - 방염제로 그린 부분은 염색이 되지 않음
3. 직염 - 염색 물감으로 천에 직접 그려서
4. 날염 - 판화기법(실크스크린, 스텐실)을 이용
5. 전사염 - 종이에 전사염료로 무늬 그림 천 위에 놓고 높은 열기로 찍어냄
- 봉숭아 물로 염색하기 (제작과정)
1. 봉숭아 준비- 으깨어 물에 담금- 끓이기- 백반 넣고 젓기- 천을 넣어 주무르기- 완성
- 작품 감상
직문사 조각보 (조선 말기)
4) 금속공예
- 정의:금속을 사용해서 만든 기물(집기, 장신구)과 기술을 총칭
- 가공법의 종류
1. 주금 - 청동, 놋쇠 등 고열에 용해시켜 틀에 부어 만듬 (종, 주화, 메달)
2. 단금 - 금속에 열을 가한 뒤 망치, 프레스로 눌러 얇게 편 후 형태를 만듬.
3. 판금 - 얇은 금속판을 자르거나 접거나 두들겨서 입체 표현
4. 조금 - 파거나 깎거나 쪼아서 자국을 만들어 장식(귀금속의 표면장식)
5. 도금 - 상화 방지나 표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화학적 착생이나 도장
- 작품감상
1. 무령 왕과 왕비의 금제 관 장식 -백제
2. 금동 투조 관장식 능형 금구
3. 백제 금동 대향로
4. 은제 도금 탁잔 (고려시대)
5. 촛대(은, 청동)
6. 학생작품 (은, 호박, 자개)
7. 보석 장신구 (은, 금부, 마노)
8. 장신구(오닉스, 다이아몬드, 백금)
9. 팔찌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은)
10. 카잔의 성모 (진주, 유리구슬, 금속, 자수 등 - 19세기 러시아)
11. 장식품 ( 폐 알루미늄 캔)
5) 유리공예
- 특성
1. 색상이 아름답고 투명하며 광명효과 있음
2. 방수성과 불변성이 있음
3. 온도의 급격한 변화나 충격에 약하고 깨지기 쉬운 결점
6) 전통공예
- 정의
그 나라만의 독특한 생활환경과 역사를 바탕으로 수공에 의해 만들어진 전통적이 공예
- 전통 공예의 종류
1. 목공예 (조선, 자연미, 실용미)
2. 죽세공예 -탄력성과 쪼개짐 -대나무의 특성 이용
3. 초경공예 (왕골, 완초 공예) - 초목의 줄기나 뿌리 이용
4. 지공예 - 종이를 이용 (그릇, 탈)
5. 화각공예 - 소뿔을 얇게 켜서 뒷면에 무늬를 그려 나무제품에 붙힘(화각함)
6. 나전일기공예 - 자개로 무늬를 붙이고 옻칠을 하는 공예
7. 박공예, 자수공예, 석공예
- 한지 공예 제작하기
1. 준비물 - 풀, 붓, 칼, 한지, 도안판, 테이프, 마감재
2. 백골에 칼집을 넣어 본드로 고정
3. 한지의 속지, 겉지를 백골에 풀을 발라 붙임
4. 도안칼로 도안을 오려냄.
5. 오린 문양을 과반 바닥에 붙임
6. 마감제를 골고루 칠함
7. 완성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