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가스기술사 시험문제 경향

 1. 시험출제 유형
가스기술사는 안전관리분야이며 시험과목은 특별히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과거의 출제 경향과 타 기술사의 출제유형을 검토하여 작성하면
1) 안전관리일반(사고원인분석 및 대책, 점검 및 조사방법)
2) 산업안전공학
3) 가스관계 및 산업안전관계법규
4) 고압가스설계와 시공 및 안전관리
5) 도시가스안전관리와 시공 및 안전관리
6) 액화가스안전관리와 설계 시공 및 안전관리
7) 기초열역학 및 유체역학
등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을 두서 없이 기록하였습니다. 시험을 준비하는 분께서 참고 문헌을 찾아 정리하고 숙지해야 할 사항입니다.

2. 시험출제의 세부사항
가. 가스의 기초
① 기체의 물리 : 단위환산, 기체의 성질, 기체의 반응, 고압가스기초 이론
② 각종가스의 제조 및 용도 : 수소, 산소, 질소, 희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염소, 염화수소, 암모니아, LP가스, 칼슘카바이트, 아세틸렌, 에틸렌, 메탄, 시안화수소, 포스겐, 산화에틸렌, 황화수소, 이황화탄소, 이산화황, 염화메틸, 브롬화메틸, 메타놀, 프레온 등
③ 압축기 : 왕복동식압축기, 호전식압축기, 나사압축기, 무급유압축기, 터어보압축기, 아세틸렌압축기, 산소압축기, 수소압축기, 압축기설계 등
④ 펌프 : 펌프의 분류, 펌프의 설계, 펌프에서 발생되는 각종 현상
⑤ 유체역학 : 유체의 성질, 비압축성유체, 압축성 유체, 차원해석과 상이 법칙, 유체의 수송, 계측기기
⑥ 연소공학 : 연료의 종류, 연소방법 및 연소장치, 연소반응 및 연소계산, 연소 및 폭발
⑦ 열역학 : 열역학의 기초 및 가스의 성질, 동력기관의 기본싸이클, 내연기관, 냉동싸이클

나. 가스관련 법규
①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령, 시행규칙
용어정의, 고압가스종류 및 범위, 고압가스제조 등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용기 등의 제조시설의 기술기준 및 시설기준, 안전성평가 및 안전성 향상계획서, 안전 관리자의 직무, 특정고압가스사용시설의 기술기준 및 시설기준, 고압가스운반기준, 용기 등의 검사보호시설 냉동능력산정기준, 고압가스 저장소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고압가스판매 및 수입업소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용기 등의 수리 자격별 수리범위, 공급자의 안전점검기준, 안전관리 규정 작성요령, 중간검사 완성검사 및 정기검사 기준, 특정고압가스사용시설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고압가스운반 기준 등의 기준, 불합격용기 및 특정 설비의 파기방법 등

② 액화석유가스안전 및 사업관리법, 시행령, 시행규칙
액화석유가스사업허가의 대상범위 및 기준, 액화석유가스 허가대상 가스용품의 범위,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사업 등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공급자의 의무, 용기의 안전점검 기준 등, 안전성평가대상시설 및 안전성평가, 시공의 자체검사, 시공기록 등의 보존 방법, 집단공급시설의 임시합격, 가스용품의 검사기준,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특정사용시설의 검사, 액화석유가스 집단공급 사업의 시설 기준 및 기술기준, 액화석유가스판매사업 영업소 용기 저장소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가스용품제조사업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액화석유가스저장소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

③ 도시가스사업법, 시행령, 시행규칙
도시가스의 정의 및 용어 정의, 시공자의 자체검사 등, 시공감리 대상 및 완성검사 대상시설, 정기검사 및 수시검사, 안전관리규정의 작성요령, 가스안전영향평가 대상시설, 가스안전영향평가서 작성요령, 긴급굴착공사의 현장확인·협의사항, 가스배관 손상방지 기준, 가스공급시설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제조소의 안전시설, 도시가스 배관의 재료 매설방법, 정압기지설치기준, 정압기지 감시장치, 정압기실의 구조 및 재료), 비파괴검사, 전기방식, 가스사용시설의 기술기준 및 시설기준, 가스배관의 손상방지를 위한 작업기준.

④ 고시
ㄱ. 고압가스안전관리기준 통합고시
고압가스설비의 내진 설계기준, 내부반응감시장치, 밴트스텍 플레어스틱에 관한 기준, 가스누출검지장치의 설치기준, 전기설비의 방폭성능 기준, 정전기 제거기준, 독성가스의 저장 충전 및 제독조치기준, 액면계 설치기준, 배관의 재료 규격, 고압가스냉동제조시설, 압축천연가스자동차용 용기의 충전시설에 관한 기준, 고압가스저장시설 기준, 압축천연가스자동차 연료장치의 구조 등에 관한 기준, 폭발방지장치의 구조 등에 관한 기준, 용기제조검사기준, 압축천연가스자동차연료용 이름매 없는 용기, 압축천연가스 자동차연료용 복합용기, 압력용기 제조 및 기밀시험기준, 용접부 비파괴검사 기준, 내압시험 및 기밀시험 기준, 기화장치의 제조 및 검사기준, 안전밸브제조 및 검사기준, 액화석유가스저장탱크의 설치기준, 기타사항

ㄴ. 액화석유가스안전관리기준 통합고시
액화석유가스충전시설, 저장탱크설치기준, 액화석유가스 저장시설, 액화석유가스의 집단공급시설, 액화석유가스 판매시설,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 정압기용 압력조정기, 도시가스용 압력조정기 기술 및 검사, 정압기용 필터, 다기능가스안전계량기시설 기술 및 검사, 냉·난방기 제조 검사, 가스보일러 설치 및 검사기준, 용기내장형 가스난방기 제조 및 검사, 이동식 부탄용기의 제조.

ㄷ. 도시가스안전관리기준 통합고시
도시가스제조소의 내진설계, 배관의 내진설계, 배관의 신축흡수, 배관의 설치보호, 정압기지의 지진방지 장치, 정압기의 안전밸브 작동압력 분출면적, 가스용폴리에틸렌관, 가스보일러설치기준, 압력조정기의 설치 점검, 원사용 예정량, 도시가스안전관리규정.

다. 가스를 이용한 산업
① 열병합 발전
② 연료전지
③ 천연가스 열분해
④ 천연가스자동차
⑤ PNG(Pipeline Nature Gas)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