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2회차 필기 합격수기 입니다.

본문부터는 편하게 작성하겠습니다

 

 

사실  스터디온에 가입한지는 조금 되었고 2012년 부터 시험 준비를 계획했었는데

직장인인데다가 시험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떨어져서 2013년 가을이 되어서야 책을 잡고 준비를 하게 되었다.

 

2012년에 전문대 전기과를 졸업해서 자격증과목에 대한 어느정도 지식이 있었으나, 학점을 얻기위한 시험위주의 지식이라 그런지 필수적인 문제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기억에 남는 이론이 별로 없었다

 

전기공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회로이론을 하고  그 뒤에 전기기기나 전력공학을 하고(두 과목은 순서에 무관)  기술기준을 하는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회로이론을 숙지하면 전기기기와 전력공학이 더욱 쉽게 이해가 갈것이라고 생각한다. 응용의 경우는 가장 많이 나오는 부분이 조명과 전열 부분이기 때문에 두 부분에 대한 기초지식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넘어가면 뒤에 전동차나 전기화학은 시험에 나오는 부분이 거의 정해져 있기때문에 부담을 갖지말고 가볍게 시험에 나온 부분만 읽어보고 넘어가는것을 추천한다 

 

마지막으로 전기 자격증을 준비하는 분들께 항상 하고 싶은 말은 전기는 기출문제만으로 절대 합격할수가 없고 전공이 아니었던 분들은 더더욱 그것이 뼈저리게 느껴질것이라고 본다.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시험에 많이 나오는 문제의 이론은 어느정도라도 정리하고 그것을 알고 있는것이  당락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라고 확신하는 바이다. 사실 전기 자격증은 당락의 점수가 항상 일정해서 떨어지는 경우는 보통 50~55점 대가 많고 합격도 65~70점대가 많다는것이 주변의 전기자격증을 노리는 학생들의 정보를 통해 알수 있있는데 그것은 운도 아니고 결국에는 공부 부족이라는것을 느끼는것이 합격에 의한 지름길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좋은 책은 처음 전기공사산업기사를 접하는 분들에게는 동일 출판사의  과목별로 나온 기본서를, 어느정도 점수가 나오는 분들은 기출문제를 보고, 독학으로 부족하신 분들에게 추천하는 인강은 에듀윌이나 제일전기학원을 추천한다.

 

2014년 전기 자격증 필기는 일정이 마무리 되었고. 4회차의 전기공사만 남았는데, 지금도 늦지 않았기에 확실한 계획을 가지고 준비한다면 17%대의 필기 합격률을 뚫는 분들이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 되기를 바란다.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