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일러,가스,공조냉동기계 필기,실기 후기

먼저 저는 직업훈련학교 교육과정을 받으면서 3종 셋트 시험을 치뤘습니다.

먼저 필기에서는 보일러, 가스의 경우 기본개념 정리가 필요합니다. 이론 공부야 시험때까지 수시로 보면서 이해한다  생각하시고 여러번 보셔야합니다. 몇번 보시면 대략 책이 어떻게 이론 구성이 되어있는지 감이 오실겁니다. 처음볼때는 이게 뭔소리인지 또 책은 왜 이렇게 두꺼운가라는 생각밖에 안드는건 누구나 마찬가지 일겁니다. 그렇게 어느정도 감을 잡으시고 이론을 몇번 훑으세요 처음부터 암기하겠다는 무작정 접근하시면 지칩니다.^^그담 계획한 날짜에 맞춰 시험전 보름이라든지 열흘 전부터는 과년도를 풀어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적게는 5년 많게는 10년치!! 몇회 풀어보시면 중요 문제라든지 출제 유형 파악이 되실 겁니다. 매회 시험보듯이 푸시다보면 나왔던 문제 계속 나오네 그런 생각도 듭니다. 그런 문제는 다시 나와도 틀리지 않도록 완전한 이해와 암기가 필요합니다. 문제와 답만 외우라는게 아니라 그 문제가 요구하는 이론을 암기하는겁니다. 계속 풀다보면 나왔던 문제네 보기만 보고 찍을때도 있습니다. 그렇게 빨리 풀려고 하시지 마세요 그러다 문제나 보기가 약간 바뀌면 틀립니다.  이렇게 맞춘 문제는 기분좋아서 머리속에 잘 들어와도 틀린 문제는 머리속에 잘 안들어옵니다. 오늘 풀어서 틀린 문제 내일 풀어도 기억 안나서 또 틀립니다. 오답정리 잘 하시고요. 이렇게 과년도 정리하세요 틈틈히 이론 요약 보시면서 필수 암기사항들 암기하면서 마지막 정리하세요..시험전날은 마지막 정리하시고 일찍 주무세요

공조냉동은 무엇보다 이해가 중요한것 같습니다. 냉동학은 암기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압축기-응축기-팽창기-증발기 관계 이해는 필수죠 공조는 종류구분 정도만 암기 잘하셔도 무방하구요 기계는 기본암기죠 틀리면 안되겠죠. 마찬가지로 과년도 보면서 유형파악하시고 보면 안전관리 부분이 얼마나중요한지 느끼실 겁니다. 과년도 다른 문제는 못풀어도 시험전까지 과년도 안전관리 문제는 필히 모두 풀어보시기 바랍니다. 20~30문제가 안전관리 문제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실기는 무엇보다 연습을 많이 해보는게 젤 좋구요. 모양보다 물 안새고 동작되는 것을 목표로 하세요^^감독관들도 물만 안새면 거의 붙는다 하고 말할 정도니 무슨 뜻인지 아시겠죠? 시험에 관한 정보 많이 들으시고 실기 고사장 선택도 중요합니다. 보일러나 가스기능사의 경도 자동 나사 절삭기 상태에 따라 당락에 영향을 많이 줍니다. 먼저 제단해서 나사내기보다 긴거 넣어서 나사 내보고 잘되는 기계에서 하든지 다른 사람이 한 곳에서 하는 등 요령도 필요하고요 몇 번 연습하신분들은 대략아실듯하네요^^문제는 용접에서 많이들 떨어지는데 보일러의 경우 은납 가스용접의 경우 충분히 예열하는거 하고 동관앨보 땜할때 강관접속부분에 젖은 걸레 감싸놓고 용접해야 테프론 타서 물새는걸 방지해야하구요. 가스의 경우 전기용접이 관건이죠 전 전력량 맞추는데 애먹어서 혼났습니다. 그거 맞추는데에만 30분 소비했네요; 한번으로는 불안해서 두번돌리고 나와서 물담가서 식힌다음 다시 확인하고 불안한 부분 또 떼웠습니다. 확인 또 확인해야합니다.^^참고로 공조냉도 실기는 다 제대로 하고 아래 동관끝 1센치 정도 은납땜 안하고 그냥 내버려서;; 오작났습니다. 오작확인하고 씁슬하게 시퀀스 연습삼아 대충하고 나오자하고 해서 1등으로 하고 나왔고 동작 제대로 됐습니다. 은납 1센치 때문에 탈락!! 한거죠..작품 완성후에는 마지막 확인점검 필수!!입니다.

3회에 보일러필기 합격, 실기 낙방, 4회에 가스,냉동 필기 합격, 냉동 실기 낙방, 보일러하고 가스만 합격 예상 중입니다.

두서없이 길게만 적어놨네요. 조금이나마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하신점 쪽지 남겨주시면 성심껏 답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모두 합격기원합니다.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