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사성어]방약무인(傍若無人)

 

 

 

 

傍若無人

곁에 사람이 없는 것 같이 여긴다(傍곁,의지할 방.若갈을 약.無없을무. 人사람인)

주위의 다른 사람을 전혀 의 식하지 않은 채 제멋대로 마구 행동함을 이르는 말

 

유래

 

전국 시대도 거의 막을 내릴 무렵, 즉 진왕(秦王) 정(政:훗날의 시황 제)이 천하를 통일하기 직전의 일이다.

 

당시 포학 무도한 진왕을 암살하려다 실패한 자객 중에 형가(荊軻)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위나라 사람이었으나 위나라 원군이 써주지 않자 여러 나라를 전전하다가 연나라에서

축(筑:거문고와 비슷한 악기)의 명수인 고점리를 만났다.

 

형가와 고점리는 곧 의기투합(意氣投合)하여 매일 저자에서 술을 마셨다.

취기가 돌면 고점리는 축을 연주하고 형가는 노래를 불렀다.

그러다가 감회가 복받치면 함께 엉엉 울었다.

마치 '곁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傍若無人] 보였다.

 

원래 방약무인은 아무 거리낌없이 당당한 태도를 말하였는데 변해서 천방지축으로 날뛰고,

무례하거나 교만한 태도를 표현할 때 인용된다.

 

이후 진(秦)나라의 정(政:훗날 시황제)에게 원한을 품고 있던 연나라의 태자 단(丹)이 형가의 재주를 높이 평가하여

그에게 진시황제 암살을 부탁하였다.

형가는 단의 부탁으로 진시황제 암살을 기도하였지만 진시황제의 관복만 뚫었을 뿐 암살은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그는 진시황제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암살하기 위해 진나라로 떠나기 전 그가 읊은 노래 “바람은 쓸쓸하고 역수는 찬데 장사 한 번 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風蕭蕭兮易水寒 壯士一去不還]”라는 구절은 유명하다.

이 노래를 들은 이는 모두 눈을 부라리고 머리카락이 하늘로 솟았다고 한다.

비슷한 말로 안하무인(眼下無人), 아무 거리낌 없이 제멋대로 행동한다는 뜻의 방벽사치가 있다.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