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사성어]배반낭자(杯盤狼藉)

 

 

?

 

杯盤狼藉

술잔과 그릇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는 뜻(杯잔 배,盤쟁반 반,狼어지러울 낭藉어지러울 자)

한창 술을 흥겹게 마시고 노는 모양 또는 술자리가 끝난 이후의 난잡한 모습을 나타내는 말

 

유래

 

《사기(史記)》의 〈골계열전(滑稽列傳)〉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의 유명한 해학가 순우곤은 언변이 뛰어나 여러 차례 사신으로 파견되었지만

비굴한 모습은 조금도 보이지 않았다.

 

어느 날 초(楚)나라의 침략을 불시에 받은 제나라 위왕은 조나라에게 구원군을 요청하기 위해 순우곤을 파견하였다.

순우곤이 조나라 병사 10만 명과 전차 1,000승(乘)을 이끌고 제나라로 돌아오자 이를 본 초나라 병사는 밤에 철수해 버렸다.

 

위기를 모면한 위왕은 매우 기뻐하여 순우곤을 위해 축하연을 베풀었다.

이 술자리에서 위왕과 순우곤의 대화 가운데 순우곤이 “날이 저물어 술도 거의 떨어지게 되어 취흥이 돌면

남녀가 무릎을 맞대고 서로의 신발이 뒤섞이며 술잔과 그릇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으며

[杯盤狼藉]”라고 대답한 데서 배반낭자가 나왔다.

 

또한 지혜롭고 상대편의 마음을 잘 읽는 순우곤은 주색을 겸비한 위왕에게 간접적으로 다음과 같이 간하였다.

 “술이 극에 달하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퍼지는데 만사가 모두 그와 같습니다

[酒極則亂 樂極則悲 萬事盡然].”

 

이 말은 곧 달도 차면 기울고 모든 사물이 그와 같으므로 나라의 운세도 같다는 뜻이다.

이후 위왕은 순우곤의 진솔하고 충직함을 깨닫고 철야로 주연을 베푸는 것을 삼갔다고 하며, 순우곤을 제후의

주객(主客:외국사신을 접대하는 관리의 우두머리)으로 삼아 왕실의 주연이 있을 때는 꼭 곁에 두고 술을 마셨다고 한다.

 

배반낭자는 구양수(歐陽脩)의 〈취옹정기(醉翁亭記)〉에도 나온다. 오늘날 정신이 혼미해질 정도로 과도하게 술을 마셔 몸과 마음을 해치는, 나아가 사회 분위기가 혼탁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경계하는 의미에서 배반낭자라는 고사성어가 주는 의미는 크다.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