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12.09
- 조회수 3,715
- 댓글수 0
?
杯盤狼藉 |
술잔과 그릇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는 뜻(杯잔 배,盤쟁반 반,狼어지러울 낭藉어지러울 자) |
한창 술을 흥겹게 마시고 노는 모양 또는 술자리가 끝난 이후의 난잡한 모습을 나타내는 말 |
유래
《사기(史記)》의 〈골계열전(滑稽列傳)〉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의 유명한 해학가 순우곤은 언변이 뛰어나 여러 차례 사신으로 파견되었지만
비굴한 모습은 조금도 보이지 않았다.
어느 날 초(楚)나라의 침략을 불시에 받은 제나라 위왕은 조나라에게 구원군을 요청하기 위해 순우곤을 파견하였다.
순우곤이 조나라 병사 10만 명과 전차 1,000승(乘)을 이끌고 제나라로 돌아오자 이를 본 초나라 병사는 밤에 철수해 버렸다.
위기를 모면한 위왕은 매우 기뻐하여 순우곤을 위해 축하연을 베풀었다.
이 술자리에서 위왕과 순우곤의 대화 가운데 순우곤이 “날이 저물어 술도 거의 떨어지게 되어 취흥이 돌면
남녀가 무릎을 맞대고 서로의 신발이 뒤섞이며 술잔과 그릇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으며
[杯盤狼藉]”라고 대답한 데서 배반낭자가 나왔다.
또한 지혜롭고 상대편의 마음을 잘 읽는 순우곤은 주색을 겸비한 위왕에게 간접적으로 다음과 같이 간하였다.
“술이 극에 달하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퍼지는데 만사가 모두 그와 같습니다
[酒極則亂 樂極則悲 萬事盡然].”
이 말은 곧 달도 차면 기울고 모든 사물이 그와 같으므로 나라의 운세도 같다는 뜻이다.
이후 위왕은 순우곤의 진솔하고 충직함을 깨닫고 철야로 주연을 베푸는 것을 삼갔다고 하며, 순우곤을 제후의
주객(主客:외국사신을 접대하는 관리의 우두머리)으로 삼아 왕실의 주연이 있을 때는 꼭 곁에 두고 술을 마셨다고 한다.
배반낭자는 구양수(歐陽脩)의 〈취옹정기(醉翁亭記)〉에도 나온다. 오늘날 정신이 혼미해질 정도로 과도하게 술을 마셔 몸과 마음을 해치는, 나아가 사회 분위기가 혼탁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경계하는 의미에서 배반낭자라는 고사성어가 주는 의미는 크다.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