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사성어]투편단류(投鞭斷流)

 

投鞭斷流

채찍을 던져 강의 흐름을 막는다 (投던질 투,鞭채찍 편,斷끊을 단,流흐를 류)

병력이 많고 강대함을 비유

 

유래

 

 

《진서(晉書)》의 〈부견재기〉에 나오는 말로, ‘강을 건너는 병사의 수가 많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전진(前秦)의 제3대 왕인 부견은 전연(前燕)과 전량(前凉)을 항복시켜 강북을 통일하였다.

부견은 이 기세를 몰아 남방의 동진(東晉)을 공략해 천하를 통일하려고 융졸(戎卒) 60만,

기병 27만의 대군을 거느리고 장안(長安)을 출발했다.

 

그러나 신하들 중 권익은 ‘동진에는 현신(賢臣)이 많다’는 이유로, 또 석월(石越)은 ‘동진은 양쯔강의 험란함에

의거하고 있고 그 조정에 혼란의 증후도 없으므로 군사를 움직이는 것은 불리하다’며 출병을 반대했다.

 

그러자 사기가 충천함만을 믿고 부견은 “우리 대군의 채찍으로도 강의 흐름을 막을 수 있”라고

호언장담하고 공격을 감행했다.

 

그러나 부견은 사현(謝玄)이 이끄는 동진군에게 비수(水)에서 크게 패해 뤄양[洛陽]으로 도망쳤다.

결국 부견은 부하에게 살해되고, 전진은 서진(西秦)에 의해 멸망하였다.

전쟁이란 단지 군사의 수가 많다고 승리하는 것이 아니라는 교훈을 주는

이 ‘비수(페이수이)의 싸움’에서 ‘풍성학려(風聲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하였다.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