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자호칭] 호칭분류

연령별 한자호칭

 

나이

10

15

20

30

40

50

60

70

80

90

100

77

88

99

명칭

沖年

志學

弱冠

而立

不惑

知天命

耳順

古稀

傘壽

九旬

上壽

喜壽

米壽

白壽

발음

충년

지학

약관

이립

불혹

지천명

이순

고희

산수

구순

상수

희수

미수

백수

 

참고)

다른 표현

 

70세 =從心(종심)

90세 =동리(凍梨)

100세 =期願之壽(기원지수)

 

해설)

 

  • <예기곡례편禮記曲禮篇>에 나오는 말로,
    사람이 태어나서 10년이면 유(幼)라고 하여 이때부터 배우기 시작한다.
    20세를 약(弱)이라 하며 비로소 갓을 쓴다.
    30세를 장(壯)이라 하고 집(家:妻)을 가진다.
    40세를 일컬어 강(强)이라 하며 벼슬을 하는 나이다.
    50세를 애(艾)라 하며 관정(官政)을 맡는다.
    60세를 기(耆)라 하고 남을 지시하고 부린다.
    70세를 노(老)라 하는데 이쯤 되면 자식 또는 후진에게 전한다.
    80·90세를 모(?)라고 하며, 모는 도(悼:7세를 가리키는 말)와 마찬가지로 죄가 있어도 형벌을 더하지 않는다.
    100세가 되면 기(期)라 하고 기린다.

 

  • 이순'은 위의 글 '육십이이순(六十而耳順)'에서 그대로 딴 것이다.
  • 한자의 뜻대로 풀이하면 '귀가 순해진다'가 된다. 공자가 나이 15세의 지학(志學), 30세의 이립(而立), 40세의 불혹(不惑), 50세의 지천명(知天命)을 거쳐60세에 이르러 도달한 경지가 바로 이순이고, 다음이 최종의 경지인 70세 때의 종심(從心)이다.

 

  • 중국 당(唐)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곡강시(曲江詩)]에 나오는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에서 유래한 말이다. 옛날에는 평균 수명이 짧아 60세의 환갑에는 큰 잔치를 열어 장수를 축하했는데, 70세의 고희연도 80세·90세·100세의 축하연, 77세의 희수연(喜壽宴), 88세의 미수연(米壽宴)과 더불어 크게 열고, 시문·서화 등의 작품을 남겨 기념하기도 하였다.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