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림과 산촌주거

산림과 산촌주거

목표 :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인 우리나라에서 문화적·생태적 적응 결과 나타난 산촌의 주거형태를 알아보자.

기본자료
산림과 산촌주거
  • 너와집
    • 굵은 소나무를 도끼로 잘라 널판을 만들고 이것들을 지붕에 이어 만든 집으로 강원도에서는 느에집 또는
      능애집이라고도 함
    • 너와는 200년 이상 자란 붉은 소나무를 토막내어 길이로 세워 놓고 쐐기를 박아 쳐서 잘라낸 널판으로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무거운 돌을 얹음
    • 너와는 단열의 효과가 크고 사이사이에 틈이 있어서 환기 및 배연이 잘 되기 때문에 여름에는 집안이 시원하고
      정지에서 나온 연기가 잘 빠짐
    •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시기에는 눈이 덮이면 집안의 온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못하므로 보온의 작용도 함
    • 굴피집
      • 산간지방에서 적송을 구하기 어려울 때 화전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 집으로 굴피나무·상수리 나무·삼나무 등의
        두꺼운 나무껍질로 지붕을 만든 집을 말함
      • 굴피는 습기에 민감하여 건조하면 바싹 말라 하늘이 보일 정도로 수축되어 통풍이 이루어지고,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아지면 이내 늘어나 틈새를 막음으로써 방수의 효과를 거두나 건조한 겨울날에는 벌어진 틈 사이로 온기를 다
        빼앗겨 보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음
      • 귀틀집
        • 주로 화전민이나 숯을 구워 내어 생계를 유지하는 주민들이 산과 계곡이나 화전밭 머리에 귀틀집을 지어
          주거생활을 해왔음
        • 귀틀집은 통나무를 도끼로 잘라 엎을 장, 받을 장의 귀틀을 짜고 벽체는 통나무 사이에다 진흙을 발라 마감을 하였음
        • 돌기와를 얹은 무거운 지붕도 끄떡없이 지탱할 정도로 구조 자체가 튼튼하기 때문에 눈이 많이 오는 지방에서
          즐겨 지었다고 하며, 집 안에 기둥이 없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임
        • 교과서 반영 제안

          적정 학교급
          보조자료와 사진

          사진 설명 : 굴피집(좌), 너와집과 초가집(우)

          유의사항
          • 산간지방에서는 오히려 볏짚을 구하기 힘들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 지역적으로 강원도에서 그 흔적을 많이 찾아 볼 수 있는 것은 강원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산지가 많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 지형은 동고서저형으로 산이 발달한 동쪽 지형의 주거 환경이 평야가 발달한 지형과 차이가 있음을 알려준다
          교과적 반영에 적정한 학교급
          학교급 주요 관련 교과 반영내용
          초등저학년 슬기로운 생활
          • 집의 다양한 종류에 대해 알기
          초등고학년 국어, 사회
          • 자연을 이용한 조상들의 생활모습
          • 지방마다 특색있는 집과 그 재료로 쓰인 나무들
          중학교 사회
          • 자연 환경과 주거공간과의 관계
          고등학교 한국지리
          • 지역에 따른 가옥의 구조를 알아보기.
  •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