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08.02
- 조회수 4,413
- 댓글수 0
한라산 등산로 변천사
1958년부터 본격 산행.........등산로 개척단계
한라산 백록담에 오른 등반로는 어떤 변천과정을 거쳤을까?
조선시대 제주목사나 판관 등이 한라산을 오른 경우는 많지만 기록을 남긴 경우는 채 10건도 안된다. 많이 올랐다는 것은 이약동 목사 이전에는 한라산 백록담 북쪽의 제단에서 한라산 산신제를 지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오르는 경우가 많았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예전에는 어느 코스로 백록담을 올랐을까?
한라산 등반기중 가장 오래된 자료라 할 수 있는 1577년 임제의 ‘남명소승’에는 제주목 서문을 출발, 도근천 상류인 광령계곡을 지나 영실의 존자암이 등반전진기지가 된다. 이어 영실코스의 옛 등반로인 남쪽절벽을 올라 올라 백록담 정상에 도착한 수 하산 할 때에는 백록담 남벽코스를 이용해 효돈천 상류에 위치한 두타사에서 1박한 수 돈내코코스인 서귀포시 영천동 방면으로 내렸다고 기록돼 있다.
존자암코스를 이용한 경우는 1601년의 김상헌어사와 1609년의 김 치 판관 등이 있다.
김상헌 어사는 백록담에서 한라산산신제를, 그리고 김 치 판관은 백록담의 북벽으로 하산한 것이 차이점이다.
이형상목사는 1702년에 백록담에 올랐는데 기록에 의하면 최초의 당일 산행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한라산 전체적인 개관에 대해서는 잘 나와 있으나 구체적인 등반코스에 그 지역을 유추해 볼 수 있는 기록이 없어 정확한 코스는 알 수 없다.
이어 1800년대 들어서는 관음사코스가 자주 이용되는데 1841년 이원조 목사의 경우 방선문 동쪽마을인 죽성촌에서 출발, 백록다 북벽으로 정상에 오른 후 하산은 남벽을 이용 선자지왓을 지나 영실로 내렸다. 이어 최익현은 남문을 출발해 방선문 죽성마을 탐라계곡을 거쳐 정상에 오른 후 남벽으로 하산 영실로 내려왔다.
일제시대인 1937년 한라산에 오른
0개 댓글